fnctId=bbs,fnctNo=11987 RSS 2.0 58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71 - 소호당 김택영과 송도인의 발견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6 첨부파일 1 1. 총서명: 민족문화 학술총서 71-소호당 김택영과 송도인의발견2. 저자: 김승룡3. 출판사: 미다스북스4. 출판일: 2025.02.28제1부 인문학자 김택영제1장 소호당학의 전개와 구도제2장 인문학자 김택영과 잡언(雜言)제3장 조선의 문화적 게토, 송도(松都)제4장 또 하나의 디아스포라, 남통(南通)제2부 아, 송도 사람이여!제5장 숭양기구전, 잃었던 사람들보론(補論) 조선의 이방인들제6장 숭양기구시집, 잊혔던 감성들제7장 18세기 한재렴(韓在濂), 연암과 송도제8장 19세기 왕성순(王性淳), 절의와 고려사제9장 20세기 고려시보(高麗時報), 1930년대 풍경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74 -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507 첨부파일 1 1. 총서명: 민족문화 학술총서 74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 2. 저자: 김려실 외 3인3. 출판사: 역락4. 출판일: 2020.09.21목차제1부 『사상계』 냉전 근대 담론의 추이제1장 『사상』 에서 4월혁명까지:1952년 9월호~1960년 4월호1. 『사상계』 그리고 지적 공론장의 형성2. 1950년대 『사상계』 의 주요 담론제2장 4월혁명부터 판권 양도까지:1960년 5월호~1967년 12월호1. 4월혁명에서 5·16군사 쿠데타까지2. 군사 쿠데타에서 한일협정까지3. 한일협정 이후 『사상계』 의 대외 담론 동향4. 한일협정 이후 『사상계』 의 국내 담론 동향제3장 부완혁 체제에서 휴간까지:1968년 1월호~1970년 5월호1. 부완혁 체제 이후 『사상계』 의 수난사2. 1968년부터 휴간까지 『사상계』 의 담론 양상3. ‘불온시’ 논쟁과 4월혁명 문학론4. 김지하 「오적」과 『사상계』 의 휴간, 그리고 그 이후제2부 『사상계』 지식인의 냉전 근대와 참여의 논리제4장 1950년대 『사상계』 의 편집체계와 지향점1. 편집위원회 결성과 「사상계헌장」2. 편집위원회의 추이와 공식 편집진3. 『사상계』 편집위원의 게재 빈도4. 중점주의 편집체계와 『사상계』 의 지향점제5장 『사상계』 지식인의 한일협정 반대운동1. 한일협정 반대운동의 거점으로서 『사상계』2. 『사상계』 의 한일협정 반대운동의 경과3. 지식인 운동의 좌절과 한계4. 포스트냉전시대 지식인의 몫제6장 1960년대 『사상계』 의 대학생 담론1. 『사상계』 의 대학생 담론과 학생 주체의 형성2. 낭만적 혁명의 상상력과 대학생 표상3. ‘정치’의 외연을 둘러싼 각축4. 투쟁적 주체로의 변모와 좌절5. 『사상계』 , 그 너머의 미래제3부 『사상계』 의 냉전 근대 표상제7장 화보로 읽는/보는 『사상계』1. 『사상계』 담론의 비언어적 토대2. 『사상계』 에 화보가 편성된 배경3. 1960년대 『사상계』 의 포토저널리즘4. 극한상황, 그리고 비폭력혁명의 가능성제8장 『사상계』 와 냉전기 극예술1. 연극전문지 공백기의 『사상계』2. 『사상계』 의 문학관과 문예 전략3. 서구 연극의 수용4. 대학극과 번역극의 선도제9장 『사상계』 의 냉전 서사와 SF적 상상력1. 『사상계』 판 걸리버 여행기, 「아이스만 견문기」2. 냉전 과학에 대한 양가감정3. ‘미숙한 결말’이 내포한 당대의 증상4. 전유의 상상력과 냉전의 알레고리찾아보기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72 - 전후 서정문학 연구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10 첨부파일 1 1. 총서명: 민족문화 학술총서 72 전후 서정문학 연구2. 저자: 조춘희3. 출판사: 경진(도서출판)4. 출판일: 2019.07.305. 차례제1부 전후 서정문학의 시대응전 방식 탐색 제1장 서정으로 읽는 전후 1. 전후, 전통, 서정문학 2. 전후 서정 연구사 3. 전통담론의 가능성 제2장 전후 서정문학의 시대응전 방식 탐색 1. 전후 서정의 전통 문제 2. 전통계승과 단절의 논리 제2부 전후 서정시의 전통 담론 구성 방식 제3장 조지훈 시론과 전통 기획 1. 직언을 통한 적극적 현실 개입 2. 지조론과 민족정서의 강화 3. 우주적 질서와 시의 원리로서의 자연 제4장 서정주 시의 탐미적 상상력과 신라정신 1. 시인의 자의식과 국가주의 2. 신라정신을 통한 상상적 전통 3. 서정시의 감각과 설화적 상상력 제5장 박재삼 시의 전통 인식 1. 현실 순응과 내면으로의 침잠 2. 한의 시학과 민중성 3. 기억의 재구성과 시조 장르 제3부 전후 현대시조의 현실인식 제6장 이호우 시조의 정신과 저항적 시대인식 1. 전통서정 시편과 시정신 2. 저항의 언어와 현실인식 제7장 이영도 시조의 정서와 비판적 역사의식 1. 가족주의와 그리움의 정서 2. 비판적 역사의식과 현실감각 3. 갈무리: 현대시조의 전후의식 제4부 전후 서정문학의 책무 제8장 전후적 감각과 서정문학의 책무 1. 국민국가 건설과 반공의 정치학 2. 문학적 자율성과 시적 책무 3. 에필로그: 전후 감수성과 태도로서의 서정 참고문헌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70 (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 단재 신채호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12 첨부파일 1 1. 총서명 : 민족문화학술총서 702. 제목 : 단재 신채호3. 필자 : 박정심4. 출판사 : 문사철5. 출판년도 : 2019.01.036. 차례서문차례서론: 민족, 근대를 꿰뚫다Ⅰ. 아의 역사적 정체성 정립Ⅱ. 아의 자성과 근대적 구현Ⅲ. 아와 마주선 비아Ⅳ. 아와 비아의 만남결론: 아의 현재성과 상호주체성참고문헌찾아보기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67 - 할미 서사의 원형과 갈래별 전개 양상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48 첨부파일 1 1. 총서명 : 민족문화학술총서 67?2. 제목 : 할미 서사의 원형과 갈래별 전개 양상??3. 필자 : 김국희?4. 출판사 : 박이정?5. 출판년도 : 2018.05.20?6. 차례?민족문화 학술총서를 내면서_4?·머리말_6?Ⅰ. 할미 서사를 보는 통합적 시각_15?1. 할미 서사의 갈래적 다양성_15?2. 할미 서사의 연구 성과 검토와 연구 방향_24?Ⅱ. 할미의 연원과 할미 서사_37?1. 할미의 용례와 개념_38?1) 할미와 꼭두각시_39?2) 할미와 노구_43?3) 여신 할미_50?2. 할미 서사의 원형_55?1) 창조신; 창조와 파괴의 길항적 대립과 세속화_56?2) 지모신; 풍요다산의 기원과 욕망의 투사_68?3) 생명신; 생사의 순환과 영원회귀의 소망_73?Ⅲ. 할미의 위상 변화와 할미 서사_85?1. 할미의 위상 변화_86?1) 선사시대와 고대_87?2) 중세_90?3) 근대이행기_94?2. 할미 서사의 놀이와 이야기적 전변_95?Ⅳ. 할미 서사의 극적 형상화 양상_101?1. 창조신 할미; 질서와 혼란의 반복_102?1) 할미과장; 만남, 이별의 반복과 공동체의 갱신_103?2) 탈굿; 대립, 화해의 반복과 공생 도모_112?3) 꼭두각시거리; 정착, 유랑의 반복과 안정된 공간의 희구_117?2. 지모신 할미; 욕망의 거침없는 발양_122?1) 할미과장; 다양한 욕망의 발현과 풍요다산_122?2) 탈굿; 성적 욕망의 극대화와 풍어 기원_138?3) 꼭두각시거리; 물욕 추구와 안정된 삶의 지향_145?3. 생명신 할미; 죽음과 재생의 주기적 순환_148?1) 할미과장; 극의 죽음과 농경 현장의 재생_149?2) 탈굿; 죽음의 부재와 어촌의 연희 환경_159?3) 꼭두각시거리; 재생의 은폐와 유랑의 애환_165?4. 할미 신앙의 세속화; 무당과 노구_171?1) 할미과장; 신성과 비속을 겸비한 여성_172?2) 탈굿; 신성한 굿판의 평범한 늙은 여성_178?3) 꼭두각시거리; 불교의 영향과 유랑예인 여성_180?Ⅴ. 할미 서사의 확장과 변이_185?1. 창조신 할미; 정착과 유랑의 반복_187?1) 꼬댁각시; 가정공동체의 형성과 해체를 통한 비극의 심화_188?2) 변강쇠가; 마을공동체로의 귀속과 방출의 엇갈림_192?3) 꼭두각시전; 공동체의 재건과 지역사회 귀감의 교화성_202?2. 지모신 할미; 욕망의 억압과 뒤틀림_209?1) 꼬댁각시; 욕망의 거세와 상상적 불행의 집합체_209?2) 변강쇠가; 극단적 욕망과 여성의 개가 비판_213?3) 꼭두각시전; 은폐된 욕망과 유교적 부덕의 고취_220?3. 생명신 할미; 죽음과 재생의 현실적 변주_227?1) 꼬댁각시; 서사 속 죽음과 놀이 속 재생의 상보성_228?2) 변강쇠가; 사회적 죽음과 재생 부재의 현실적 편견_231?3) 꼭두각시전; 비속한 삶의 종결과 유교적 재생의 계몽성_234?4. 할미 신앙의 세속화; 무속을 통한 역경 모면_238?1) 꼬댁각시; 고단한 삶에 대한 치유_239?2) 변강쇠가; 해원과 상생을 통한 갈등 해결_243?3) 꼭두각시전; 상상적 염원의 현실화_246?Ⅵ. 할미 서사의 문학사적 의의_253?1. 여신 할미의 세속화 과정과 사회문화적 의미_253?2. 할미의 성격 변화와 담당층의 관련성_261?[표 목차]?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59 - 고려후기 신분변동 연구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16 첨부파일 1 1. 총서명 : 민족문화학술총서 59?2. 제목 : 고려후기 신분변동 연구??3. 필자 : 김현라?4. 출판사 : 혜안?5. 출판년도 : 2018.11.20?6. 차례?책을 내면서?머리말?1. 연구성과?2. 연구방향?제1장 하층신분층에 대한 정책의 추이?1. 하층신분층 변동의 사회·경제적 배경?2. 대민정책의 추이?제2장 白丁농민과 貢戶制의 시행?1. 공호제의 시행 배경?2. 공호제의 시행과 대민편제의 방향?3. 공호제의 정비와 백정농민의 성장?제3장 부곡제의 소멸과 稱干稱尺制의 정비?1. 부곡제민의 신분에 대한 검토?2. 부곡제의 소멸과 稱干稱尺制의 정비?제4장 노비의 실태와 노비제의 변화?1. 노비의 실태?2. 노비제의 변화와 그 특징?제5장 특수신분층의 제양태?1. 특수신분층의 발생?2. 惡少의 형성과 護軍?3. 惡僧의 형성과 경제활동?제6장 고려율령에 나타난 천인제도와 양천질서?1. 高麗·唐·日本의 律令身分制 연구-賤人制를 중심으로?2. 高麗·唐·日本의 율령과 良賤秩序?맺음말?참고문헌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64(2018 세종도서 학술부분 선정) -고려 개경 경기 연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34 첨부파일 1 1. 총서명 : 민족문화학술총서 64?2. 제목 : 고려 개경 경기 연구??3. 필자 : 정은정?4. 출판사 : 혜안?5. 출판년도 : 2018.04.20?6. 차례책을 내면서머리말1. 연구 현황2. 연구 방법과 방향제1장 開京 定都와 圈域의 정비1. 도읍 선정과 開州의 위상1) 후삼국 분열에서 통합으로2) 개경 定都와 그 위상2. 도성 정비와 도시 시설의 배치1) 중세전환기 동북아시아 도성제2) 개경의 도성설계, <周禮考工記> 수용과 변용3. 浿西圈域 분리 축소와 개경 주변지역 정비제2장 개경의 경계 확정과 京畿制 확대 실시1. 都內와 郊外의 설정2. 赤畿縣制의 시행과 군사적 畿輔 역할3. 경기제의 확대 실시와 그 편성원리1) 京畿.大京畿制 시행과 京.畿內 분리2) 경기 편성의 원리제3장 개경의 도시공간 팽창과 경기지역 개발1. 토목공사의 설행과 도시공간의 확장2. 王都의 도시 청정책과 재정비3. 경기 남부지역의 경관 변화1) 경기 남부의 공한지 개발2) 관인 분묘 조영지의 확산과 近隣生活圈3) 경기 남부의 도회, 상업적 환경의 조성4. 三京制의 균형적 유지와 南京建都巡駐의 전개제4장 개경의 도시위기와 京畿圈域의 축소1. 유통관련 도시문제의 확산과 그 병폐2. 도시권력의 多岐化와 위기관리책 부재1) 개경 궁궐의 위축과 後苑 조영 감소2) 개경 사원의 도시권력 분점3) 災異의 발생과 王都 청정책 미비3. 三京制의 파행적 운영과 三蘇制 논의4. 경기권역의 축소와 환원1) 대경기 영역의 변화2) 江都 遷都, 개경.강화 중심의 京畿 복원제5장 胡漢共存과 開京.京畿의 도시왜곡1. 胡的 요소의 강제와 도시 변질1) 胡的 요소의 증대와 胡漢共存2) 원 수도권 정책의 절충-開京 江都의 兩都制3) 궁궐 건축양식의 胡漢風 공존과 그 운영2. 원 內地 시장권의 확대와 국내 시장구조의 변화3. 경기지역의 分節的 공간구조 형성1) 관인계층별 畿內 생활공간의 분점2) 수취방식의 변화와 京畿左右道制 실시4. 본격적 남경천도론의 전개와 兩京制 논의맺음말?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58(2018 세종도서 학술부분 선정) - 근대 여성문학의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12 첨부파일 1 1. 총서명 : 민족문화학술총서 36?2. 제목 :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미디어의 고통?3. 필자 : 김경연?4. 출판사 : 소명출판?5. 출판년도 : 2017.10.30?6. 차례?책머리에?서론 :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미디어의 교통을 읽다?1. 문학, 매체, 젠더?2. 1990년대 전후 여성문학 연구의 전개?3. ‘여성문학’의 (불)가능한 정의와 젠더적 독법?제1부 여학교와 여성용 미디어의 네트워크 - 여성의 표현을 계몽하고 ‘여성’을 발명하다?제1장 여성의 리터러시 확대와 젠더질서의 구축?1. ‘여학교’의 탄생과 ‘여학생’의 등장?2. 여성교육 미디어로서의 ‘여성잡지’?제2장 여성잡지가 표상한 근대적 여성 - 청년여자/신여자?신여성?주부?1. ‘청년여자/신여자’, 개조와 연대의 기획?2. ‘신여성’, 주체주의와 민족주의의 착종?3. ‘주부’, 신가정의 구상과 근대적 어머니의 발명?제2부 여성 독서의 계몽과 문학 취향의 구성 - 여성용 독서를 교육하다?제1장 여성 독서의 계몽과 문예란의 배치?1. 여성 독서의 계몽과 지도-여성의 필독서와 금기서의 선별?2. 여성 독자의 문학열과 ‘문예란’의 배치?제2장 여성용 독물(讀物)의 구성과 독서 취향의 젠더화?1. 유사문학적 서사물의 창안과 대중주의의 기획?2. 동화(童話)의 수록과 근대적 모성 교육?3. 장편연재소설의 배치와 여성교양의 훈육?제3부 여성의 글쓰기와 여성문학의 지형 - 여성적 글쓰기의 창안과 굴절을 읽다?제1장 여성 글쓰기의 계몽과 성별 정치?1. 독자투고제의 운영과 여성적 규범의 작동?2. 여성 글쓰기 공간으로서의 ‘독자란’의 형성?제2장 여성작가의 발굴과 ‘여류문학’ 범주의 구성?1. 문학 대중화 기획과 여성문학 섹션의 탄생-『조선문단』의 ‘여자부록’?2. 여성작가의 발굴과 여성문학의 배치?3. 하위범주로서의 ‘여류문학’ 담론의 생산?제3장 여성의 글쓰기와 ‘경합/협상’의 정치학?1. 실화·수기류-참회와 고발, 두 겹의 자기역사 쓰기?2. 수필-여성적 장르의 배치와 균열의 징후?3. 소설-성별 경계를 넘어선 재현의 다층적 전략?결론 : 여성문학을 다시 묻다?참고문헌?부록?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68(201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 범패의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11 첨부파일 1 1. 총서명 : 민족문화학술총서 68?2. 제목 : 범패의 역사와 지역별 특징?3. 필자 : 윤 소 희?4. 출판사 : 민속원?5. 출판년도 : 2016.12.05?6. 차례?목차민족문화 학술총서를 내면서 책머리에 Preface 제1장 한국 불교음악의 역사와 전개 Ⅰ. 신라의 불교음악 Ⅱ. 고려시대의 불교음악 Ⅲ. 조선시대의 불교음악 Ⅳ. 근ㆍ현대 불교음악 제2장 중국 한어 성조와 한국 범패 Ⅰ. 범어와 중국 한어 성조 Ⅱ. 범패의 율조와 4성조 Ⅲ. 한어 성조의 입성과 범패의 맺음형 Ⅳ. 맺음말 제3장 범패의 성지 쌍계사와 염불원 Ⅰ. 쌍계사의 역사와 현재 Ⅱ. 쌍계사와 고산스님 Ⅲ. 고산스님의 수행ㆍ신행 그리고 염불 Ⅳ. 법좌송의 역할과 의미 Ⅴ. 총림과 염불원 Ⅵ. 맺음말 제4장 범패의 지역별 전승 배경과 현황 Ⅰ. 경제 범패 Ⅱ. 영제 범패 Ⅲ. 완제 범패 제5장 짓소리의 개념과 지역별 특징 Ⅰ. 짓소리의 개념 Ⅱ. 짓소리의 위격과 용처 Ⅲ. 짓소리의 모음창 Ⅳ. 짓소리의 음악적 실체 Ⅴ. 대만ㆍ티벳 범패와 비교해 본 짓소리 Ⅵ. 맺음말 제6장 영제와 경제 범패-용운스님과 송암스님 범패 비교 Ⅰ. 영제 범패의 소리길과 성음 Ⅱ. 경제 범패의 소리길과 성음 Ⅲ. 영제와 경제 범패 비교 Ⅳ. 맺음말 제7장 완제 범패와 경제ㆍ영제-일응스님 범패를 통하여 Ⅰ. 완제 범패의 세계 Ⅱ. 경제ㆍ영제 범패와 비교 Ⅲ. 맺음말 부록: 악보 및 해설 1. 경제와 영제 범패 2. 일응스님 범패-경제와 완제의 가교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 ?? [학술총서] 민족문화 학술총서 66 (2017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 조선후기 한글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274 첨부파일 1 1. 총서명 : 민족문화학술총서 66?2. 제목 : 조선후기 한글 유배일기 연구(2017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3. 필자 : 조 수 미?4. 출판사 : 경진출판?5. 출판년도 : 2016.04.30?6. 차례?민족문화학술총서를 내면서 머리말 제1부 조선후기 한글 유배일기 연구 1장 한글 유배일기 연구의 가치 1. 유배일기의 문학적 가치와 한글 유배일기 2. 유배일기 연구의 성과 2장 한글 유배일기의 예비적 고찰 3장 한글 유배일기의 형성배경 1. 사대부 가문 이야기판의 성립 2. 다양한 한글 텍스트에 대한 요구 증대 4장 유배체험의 양상과 서술방식 1. 후명(後命)과 죽음에 이르는 과정 2. 유배의 여정과 유배생활의 실상 5장 한글 유배일기의 가족문학적 의의 6장 유배일기 연구의 전망 제2부 유배문학 연구의 전개 1장 유배일기 태화당북정록에 기록된 ‘꿈’의 양상 연구 1. 유배일기에 기록된 꿈 2. 태화당과 태화당북정록 3. 결핍상황 및 결핍해소에 대한 욕망과 꿈 4. 유배객의 내면과 꿈의 기록 2장 유배 인물 전설의 신원적 성격과 서술 전략 연구: 단종 전설을 중심으로 1. 귀양 전설과 진혼 2. 단종 전설의 화소 3. ‘진혼(鎭魂)’을 위한 서술 전략 4. 귀양 전설의 문학적 가치 참고문헌 찾아보기 처음 1 2 3 4 5 6 다음 페이지 끝 처음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