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12038 RSS 2.0 6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자료총서] 로컬리티 자료총서 6 - 대천일기 2 - 마을 반장회의를 개최한다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7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자료총서 6 2. 제 목 : 대천일기 2 - 마을 반장회의를 개최한다 3. 필 자 : 양흥숙 외 4명 4. 출 판 사 : 부산대학교출판부 5. 출판년도 : 2017.04.28 6. 차례 대천일기 2 1962년 1963년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1971년 [자료총서] 로컬리티 자료총서 5 - 대천일기 1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274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자료총서 5 - 우차를 몰고 장에 갔다 온다 2. 제 목 : 대천일기 1 3. 필 자 : 양흥숙 외 4명 4. 출 판 사 : 부산대학교출판부 5. 출판년도 : 2017.04.28 6. 차례대천일기 1지도사진해제농사일기1954년1955년1956년1957년1958년1959년1960년1961년1962년일기1956년1958년1959년1960년1961년 [자료총서] 로컬리티 자료총서 4 - 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통영-핫토리 겐지로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15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자료총서 4 2. 제 목 : 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통영-핫토리 겐지로 3. 필 자 : 핫토리 마사타카 엮음 | 우정미 옮김 | 차철욱 역주 및 해제 4. 출 판 사 : 국학자료원 5. 출판년도 : 2017년 2월 17일 6. 차례목차『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통영핫토리 겐지로』를 발간하며 해제 凡例 연보 계보 서언 제1편 고향·생가·아버지 제1장 _ 고스기(小杉) 41 제2장 _ 생가·아버지 50 제2편 전반생(前半生) 제1장 _ 소년시절 63 제2장 _ 히노(日野)의 백일 주산수업(百日算) 66 제3장 _ 가업(家業), 동경(憧憬) 69 제4장 _ 결혼 71 제5장 _ 조선 도항 74 제3편 후반생(後半生) 제1장 _ 사생활과 개인사업 81 1. 통영, 갱생(更生)(1908) 81 2. 대부업(1908) 86 3. 형수의 내조 89 4. 장부관리 90 5. 미곡상 및 경영상의 특징(1910년 이후) 91 6. 토지사업(1912년 이후) 95 7. 금의환향(1915) 98 8. 형수의 중병(1916~1918)과 완쾌 감사 야유회(1919) 101 9. 가업의 발전 정미업(精米業) 및 해산물상(海産物商) 개시(1918~9년 이후) 103 10. 거듭된 불행과 기념 출판, 생활의 대전환, 재혼(1920) 105 11. 가정, 고향 방문 112 12. 상점의 주인 114 제2장 _ 회사사업 119 1. 서장 119 2. 통영해산물동업조합(1911년) 121 3. 통영해산물주식회사(1913년) 122 4. 통영칠공(漆工)주식회사(1918) 123 5. 통영통조림주식회사(1920년) 125 6. 통영해운주식회사(1920) 및 조선기선주식회사(1925) 126 7. 통영해산주식회사(1921년) 127 8. 토지주식회사 128 9. 통영신탁사(1922년) 및 통영무진주식회사(1924년) 129 10. 조선제망(製網)주식회사(1924년) 131 11. 맺음말 136 제3장 _ 공적사업 138 1. 서장 138 2. 면장 취임 전 139 3. 면장 시대 141 4. 면장 사임 후 154 5. 중국 여행 161 6. 주산 165 7. 고향에 대한 봉사 172 8. 맺음말 173 제4장 _ 정신생활 174 「교우 핫토리 씨를 기억하다」|가와치 가즈무네 174 제4편 유럽 견학여행과 죽음 유럽 시찰단에 참가하여|핫토리 겐지로 192 附 핫토리 겐지로 씨의 죽음을 애도하며(욧카이치 장례식장에서의 설교)|요시카와 이츠노스케(吉川逸之助) 195 맺음말|젊은 친척들에게 바침 199 제5편 추도문 남동생|핫토리 다이(服部たい) 207 추억|츠지 가네(?かね) 210 죽은 형에 대한 추억|핫토리 겐이치로(服部源市郞) 211 죽은 형에 대한 추억|故 핫토리 하루카즈(服部春一) 220 추회|핫토리 다이조(服部岱三) 223 서신 3통|핫토리 마사타카(服部正喬) 227 추억|핫토리 다케오(服部武生) 230 방문 방법, 팁, 점원 관리, 노인과 아이들에 대해서, 담배 이야기|미즈타니 나오지로(水谷直次?) 232 어느 날 이야기|구루베 고레무네(訓覇是宗) 237 추회 와카(和歌)|故 다케우치 규타로(竹?求太?) 245 추회|가시이 겐타로(香椎源太?) 247 추회|故 오이케 다다스케(大池忠助) 249 핫토리 군을 생각한다|구키 몬주로(九鬼紋十?) 251 핫토리 겐지로 씨의 옆얼굴|야마나카 미네타로(山中峰太?) 252 포성과 아타미의 여관 등|나카무라 모리오(中村守雄) 259 나의 핫토리 겐지로 관|호리 우시오(堀潮) 274 마을 행정의 후원자, 사회봉사|가토 치카라(加藤主計) 278 추억|니시와키 진노스케(西脇甚之助) 282 추억|이노우에 치카스케(井上親亮) 286 옛 친구를 생각한다|다테 도모에몬(館友右衛門) 290 추억|다테 토모에몬(館友右衛門), 스하라 히로시(須原?), 츠지 이치지로(?市次?) 291 핫토리 겐지로 씨를 생각한다|야마구치 아키라(山口精) 292 지금은 없는 핫토리 씨의 모습을 그리며|다무라 가츠이치(田村勝市) 294 핫토리 겐지로 씨에 대한 추억|오시마 신이치(大島信一) 295 추억 그대로|다니모토 도라키치(谷本寅吉) 297 친구로서의 핫토리 형|가와노 미네키치(河野峰吉) 300 핫토리 겐지로 씨에 대한 감상|에토 다케히코(衛藤竹彦) 302 핫토리 씨의 반면|야부키 사다키치(矢吹貞吉) 304 추억|미즈타니 하루지로(水谷治次?) 305 추억|가타야마 사이치(片山佐一) 311 핫토리 씨와 나|마시로 고요(間城香陽) 314 가난한 소상|故 구루베 가즈오(訓覇一雄) 315 죽음을 기억하다|다케우치 슈헤이(竹?秋平) 321 추억기|야마모토 곤에몬(山本權右衛門) 322 주인과 나|나카토미 요이치(永富陽一) 324 감상 1, 2|요코야마 기요시(?山?) 327 옛 주인을 그리며 |구보 마사노부(久保正信) 329 옛 주인을 생각하며|故 구로미야 이치로(?宮一?) 331 [자료총서] 로컬리티 자료총서 3 - 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지역사회 - 진남포의 토미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11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자료총서 3 2. 제 목 : 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지역사회 - 진남포의 토미타 기사쿠 3. 필 자 : 도미타 세이이치 엮음 | 우정미 옮김 | 오미일 역주 및 해제 4. 출 판 사 : 국학자료원 5. 출판년도 : 2013년 6. 차례『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 지역사회』를 발간하며일러두기서(序)|고다마 히데오(兒玉秀雄)서(序)|시모무라 가이난(下村海南)서언(序言)|도미타 세이이치(富田精一)해제◆ 전기(傳記)제1장_ 소년시절1. 어머니의 교훈2. 옹의 성장과정 3. 아버지의 교훈과 도산 4. 스스로 봉공을 자청하다 5. 형님, 안녕히…… 6. 견습 봉공 7. 은광산(銀鑛山)에 들어가다 8. 토지대장 제작에 참여하다 제2장_ 고난의 길 1. 이와야 이치로쿠(巖谷一六) 선생과 이야기하다 2. 뜻밖의 재난: 투옥 제3장_ 대만(臺灣)시절 1. 대만행 2. 장뇌(樟腦) 제조 3. 번인(蕃人)의 습격 4. 우뭇가사리 채취 5. 가다랑어포 제조 제4장_ 조선 도항의 제일보 1. 경성으로 오다 2. 엄동과 싸우다 3. 은율광산 경영 4. 무연탄 실패 5. 광산 경영의 변천 6. 뒷일을 부탁하다 제5장_ 산업에 경주(傾注)하다 1. 야채 재배 2. 사과 재배 3. 용강(龍岡)온천의 기원 4. 고니시 와사부로(小西和三?) 씨의 죽음 5. 은율광산 재흥 6. 철도, 전기의 권리 7. 다케다(武田) 소장 환영회 8. 채굴권 몰수 9. 십오일회(十五日會) 10. 한성정변(漢城政變)의 여파 11. 채굴 사업의 안정 12. 목축업의 발달 13. 양잠업의 흥폐 14. 삼화화원(三和花園) 15. 이시구로 남작(石黑男爵)의 경탄 16. 폭도의 습격 17. 산림 육성 18. 청양도(靑洋島)와 웅도(熊島)의 경영 19. 개척사업 제6장_ 육영과 근검장려 1. 후코쿠코(富國?) 창설 2. 사립금산포보통학교 3. 농사 장려 4. 광석 줍기 5. 지역민에게 근검을 장려 6. 헌 병 줍기를 권하다 7. 학교 신축과 변천 8. 공로자 게카치 이노스케 씨 9. 고등여학교 창설 제7장_ 공예미술 진흥 1. 고려요의 재흥 2. 삼화 짜기(三和編)의 유래 3. 조선 완구의 부흥 4. 나전세공(螺鈿細工) 5. 조선미술품제작소 6. 조선미술공예관 제8장_ 사회사업 1. 공제사(共濟社) 창립 2. 장선원(?善院) 3. 사립감옥 제9장_ 가문의 영예 1. 칙정(勅定) 남수포장(藍綬?章)을 받다 2. 관민합동 축하회 3. 헌곡(獻穀)의 은혜를 입다 4. 즉위식 참례와 서훈(敍勳) 5. 헌곡기은비(獻穀紀恩碑)제10장_ 금융기관의 창설 1. 삼화은행(三和銀行) 창립과 변천 2. 도미타합자회사(富田合資會社) 설립 제11장_ 조선개발을 위해서 1. 과일동업조합 2. 시정기념공진회(施政記念共進會) 공로표창을 받다3. 구하라정련소(久原精煉所) 신설 4. 만세 소동 5. 조선물산협회(朝鮮物産協會) 6. 옹과 산업 단체 7. 조선발명협회 설립 8. 생우(生牛) 수출 9. 옹과 공공사업 제12장_ 옹의 말년 1. 산업조합 2. 즉위식을 계기로 저금을 장려 3. 조선박람회 4. 옹과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5. 복륜(復輪)굴뚝 6. 숨은 공로자 7. 신묘지(新墓地) 기부 제13장_ 종언 1. 옹의 최후 2. 옹의 질환과 해부 3. 장례 4. 서위 5. 추도회 6. 매장식 부) 옹의 가정 ◆ 일화(逸話)시모오카 정무총감과 옹 검소한 생활 자기를 버리는 정진(精進) 겸양(謙讓) 젊은 기운 도보주의(徒步主義) 가슴에 남수포장이 없다 옹의 애향심 옹과 상공학교(商工學校) 선우구락부(船友俱樂部) 제4조합 옹과 해시상회(海市商會) 금산포에서 옹의 덕망 덕은 외롭지 않다 옹의 부음과 이치카와(市川) 씨 옹의 관용 ◆ 추억담산업계의 대은인|고다마 히데오(兒玉秀雄) 인자한 마음|우사미 가츠오(宇佐美勝夫) 진심으로 조선을 생각한 사람|세키야 데이사부로(關屋貞三?) 도미타 옹을 그리다|시가 기요시(志賀潔) 산업 개발에 전 생명을 바치다|이케다 히데오(池田秀雄) 민간에서는 보기 드문 사람|이마무라 다케시(今村武志) 조선의 은인|마츠무라 마츠모리(松村松盛) 오로지 조선개발에 진력|소노다 히로시(園田?) 좋은 상담자|아리가 미츠토요(有賀光豊) 교육계를 위해서도 노력|가와치야마 라쿠조(河?山?三) 사회사업을 위해 태어난 사람|와다 이치로(和田一?) 도미타 옹을 그리워하며|모리 고이치(森悟一) 아름다운 장로(長老)의 모습|후지와라 요시조(藤原喜藏) 위대한 옹의 업적을 생각하다|사이토 긴지(齋藤欽二) 맹인이 지팡이를 잃은 것과 같다|호리카와 시게하루(堀川重治) 조선산업개발의 위훈자|하야시 고마오(林駒生) 진정한 애국충군지사|니시자키 츠루타로(西崎鶴太?) 도미타 옹에 대하여|북한산인(北漢山人) 향토애가 강한 사람|이종섭(李鍾燮) 도미타 옹을 추억하다|와타나베 데이이치로(渡邊定一?) 조선개발에 막대한 손실|다테카와 로쿠로(立川六?) 도미타 옹의 추억|소가 츠토무(曾我勉) 고 도미타 옹을 그리며|우라다 다키토(浦田多喜人) 산업계에 큰 영향력|구기모토 도지로(釘本藤次?) 공공사업의 제1인자|마츠이 다미지로(松井民次?) 조선 개발의 공로자|후쿠나가 마사지로(福永政治?) 생각나는 일|아사카와 노리타카(淺川伯敎) 도미타 옹을 회고하며|신 다츠마(進辰馬) 도미타 옹을 그리다|히사마츠 젠페이(久松前平) 남포가 입은 은혜|스즈키 슈이치(鈴木種一) 옹과 같은 사람은 전 조선에 없다|스즈키 고타로(鈴木孝太?) 연보 교정을 마치며|나카지마 츠카사(中島司) [자료총서] 로컬리티 자료총서 2 - (잡지로 보는) 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견 1-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14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자료총서 2 2. 제 목 : (잡지로 보는) 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견 1-11 3. 필 자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 출 판 사 : 국학자료원 5. 출판년도 : 2013년 6. 차례<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1-11>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1 - 전국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2 - 경성1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3- 경성2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4 - 경기도, 황해도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5 - 경상도1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6 - 경상도2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7 - 전라도, 제주도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8 - 충청도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9 - 강원도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10 - 평안도한국 근대의 풍경과 지역의 발전 11 - 함경도 [자료총서] 로컬리티 자료총서 1 - 부산근대영화사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자료총서 1 2. 제 목 : 부산근대영화사 3. 필 자 : 홍영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인문학연구단 4. 출 판 사 : 산지니 5. 출판년도 : 2009년 6. 차례발간사 추천사 머리말 Ⅰ. 부산 최초의 활동사진 흥행(1904년) 1. 극장 태동기(1881-1895년) 2. 부산 최초의 극장 행좌와 송정좌 3. 부산 최초의 영화 상영 Ⅱ. 활동사진 상설관 시대 개막(1914년) 1. 최초의 활동사진 상설관 욱관 2. 1910년대 부산 흥행계 3. 기록영화 <부산 경성의 전경> Ⅲ. 영화도시를 꿈꾸었던 부산(1924년) 1. 조선키네마주식회사의 설립과 해산 2. 1920년대 부산 흥행계 Ⅳ. 발성영화관 시대 도래(1929년) 1. 행관에서 발성영화 처음 상영 2. <춘향전> 계기로 조선영화 상영 3. 소화관과 부산극장 개관 4. 1930-40년대 부산 흥행계 Ⅴ. 부산근대영화 상영자료(1915-1944년) 참고문헌 찾아보기 처음 1 끝 처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