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12040 RSS 2.0 1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기타] [기타]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 40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293 첨부파일 1 1. 도 서 명 :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 40 2. 필 자 : 변광석 외 39 3. 기 획 : 교수신문 4. 출 판 사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5. 출판년도 : 2016.02.29 6. 차례목차1부 근대의 심장을 찾아서 - 개항부터 한국병합까지 경복궁 권력성의 토폴로지로 점철된 공간 ◎ 보이기와 보기, 이용하기의 기시감 덕수궁 ‘제국의 운명’이 엇갈린 곳 장충단공원 오욕의 역사가 아로새겨진 공간 남산 아픈 권력의 공간에서 즐거운 일상의 공간으로 ◎ 건축으로 따라가 본 남산의 현장 옛 부민관·서울시의회 청사 한국 정치의 ‘중심의 주변’ ◎ 복합 문화 공간에서 문화 통제의 상징으로 변질되다 ◎ 재활용을 거듭한 건물 명동·충무로 금융·경제·소비문화의 중심, ‘경성의 긴자’ 2부 머나먼 여정, 식민에서 독립으로 - 일제강점기부터 해방까지 옛 서대문형무소 민족 해방을 위한 번제의 제단 ◎ 문학 작품에 비친 서대문형무소 탑골공원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장소에서 저항의 못자리로 천도교 중앙대교당 항일 투쟁과 민중 집회의 거점 ◎ 역사로 보는 천도교의 흥망성쇠 인천항 굴곡진 이미지를 벗고 새로운 정체성 찾기 ◎ 경계의 공간 - 영화와 드라마 속 인천 목포항 동백꽃처럼 타오르다 슬프게 시든 도시 ◎ 목포가 낳은 문화예술인 군산항 일제강점기 쌀 수탈의 본거지 ◎ 채만식이 《탁류》에서 그린 군산항 옛 광주고등보통학교 청년 학생 운동의 시발점 ◎ 진리의 장소를 산다는 것 부산항 근대 국가의 성장 동력으로 불린 공간 ◎ 예술의 무대가 된 부산항 옛 부산동척빌딩·미문화원 시대의 질곡이 주름처럼 새겨진 곳 ◎ 복수의 이름을 가진 곳에서 기억과 치유의 장소로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 동아시아 혁명의 거점에 자리했던 조선 독립운동의 심장부 ◎ 역사에 묻힌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 풍경 만주 역사 인식이 충돌하는 항일 무장 투쟁의 무대 3부 새로운 출발, 그러나 아픈 - 해방 후부터 1960년대까지 청와대 권력의 장소에서 열린 소통의 공간으로 ◎ 청와대와 풍수 정치학 경교장 거듭된 반전의 역사, 박제된 장소성 이화장 서로 다른 기억이 충돌하는 공간 서울대학교 지워진 시간의 흔적과 공간의 정치학 ◎ 역대 서울대학교 총장의 계보 제주도 치유되기 힘든 푸른 평화의 섬 ◎ 조작된 평화와 가상현실의 세트장 지리산 산화한 넋들의 이야기를 품다 ◎ 영원한 ‘소수의 화원’ 거창 산 자와 죽은 자의 공명이라는 숙제 소록도 회고적 다크투어의 대상이 된 추방의 땅 ◎ 시와 소설에 그려진 ‘작은 사슴의 섬 ’ 부산국제시장 삶의 애환과 생존 경쟁이 끓어오르던 용광로 판문점 장벽이자 통로라는 이중성을 내포한 장소 용산 100여 년간 이어진 외국군 주둔의 현장 ◎ 용산과 삼각지는 어디에? 매향리 죽음 같은 폭음이 멎은 땅 4부 영광의 길목 - 197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마산 앞바다 그 바다에서 역사가 솟구쳐 올랐다 ◎ 3·15의거와 김주열 열사 국립4·19민주묘지 살아남은 자의 비루함, 혹은 역사의 아이러니 ◎ 영원한 청년들의 기묘한 동거 울산공업지구 근대화를 견인한 중화학 단지의 두 얼굴 포항제철 모래 벌판에서 일군 ‘성공 신화’의 명암 여의도광장 생태공원으로 덮어버린 광장의 기억 경부고속도로 근대화를 향해 질주한 ‘마음의 고속도로’ 서울역 탈향·민주화·시간을 가속화한 수도의 관문 ◎ 무성 영화에 그려진 경성역 구로공단 산업화가 만들어낸 고난과 희망의 교차로 ◎ 허기진 ‘노동의 새벽’에서 ‘외딴방’의 성장통까지 청계천 평화시장 개발과 복원으로 사라진 청계천의 역사 ◎ 전태일다리 너머로 바라본 세상 금남로와 옛 전남도청 민주화 운동의 지성소 ◎ 오월의 기억을 말한다는 것 명동성당 ‘아고라’에서 ‘구원과 선교의 성당’으로 ◎ 명동성당 건축 약사 처음 1 끝 처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