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12035 RSS 2.0 30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30(2018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 제국의 관문-개항장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441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30(2018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2. 제 목 : 제국의 관문-개항장도시의 식민지 근대 3. 필 자 : 오미일 4. 출 판 사 : 도서출판 선인 5. 출판년도 : 2017.04.25 6. 목차 :1부 식민지 근대의 공간적 구현1장 스포츠 이벤트와 민족의 지리학 - 1910~1920년대 원산지역을 중심으로1. 스포츠 이벤트와 식민지 근대의 공간적 맥락2. 전통기념일과 각희대회 3. 근대적 스포츠와 운동회4. 스포츠 이벤트의 장소와 공간의 분절 2장 자본주의생산체제의 변화와 공간의 편성 - 일제 말기 인천지역을 중심으로1. 자본주의와 공간의 편성2. 자본 이동과 공업의 발달3. 노동력의 지리적 이동과 인구 추이4. 공간의 편성과 분화5. 제국주의 공간정책과 개항장도시의 경관 변화 2부 근대 주체의 형성과 지역정치 - 서발턴·토착자본가·식민자3장 1920년 9월 원산지역 만세시위와 저항의식 형성의 기제1. 서발턴 이론과 식민지 지역사회의 저항시위2. 1920년 9월 만세 시위와 서발턴3. 서발턴의 저항 의식: 형성과 발현의 기제4. 출옥 후 여전히 서발턴으로 4장 조선인 자본가층의 결집과 지역번영단체의 조직1. 1920년대 청년회의 재편과 ‘지역번영’ 단체2. 조선인 자본가층의 결집과 원산청년회 3. 조선인 자본가층의 원산시영회 조직과 내부 갈등4. ‘지역번영’ 단체 주도세력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배경 5장 원산시영회와 원산시민협회의 개발 프로젝트와 그 사회정치적 의미1. 지역번영단체의 지향과 사업 프로젝트2. 시민협회의 주도층과 조직적 추이3. 시영회·시민협회의 경제 분야 프로젝트 추진과 실현 과정4. 시영회·시민협회의 교육·문화 프로젝트 기획과 좌절 6장 1920~1930년대 초반 조선인 자본가층의 지역정치 - 원산시영회와 원산시민협회의 선거 및 노동 개입을 중심으로1. 지역정치의 자장(磁場): 식민권력과 조선인 대중2. 시영회·시민협회의 선거 개입과 공인후보 선출3. 시민협회의 원산총파업 중재와 조선인 자본가층의 입지4. 조선인 자본가층의 정치적 입지와 지역번영단체의 위상 7장 이주 일본인들의 지역단체 조직과 사회관계망1. 일본인 민간단체와 지역사회2. 원산지역 일본인 단체의 지형과 추이3. 경제 단체의 설립과 활동4. 사회적 문화적 교류와 지역 단체5. 일본인 민간단체: 경제적 이익 추구의 지역 네트워크 3부 동원의 일상, 의례와 기억8장 전시체제기 인천지역의 기념(일)의례와 동원의 일상1. 전시체제 하 지역민 통제와 기념(일)의례2. 인천의 전국적 기념의례와 대중 동원3. 인천의 지역기념의례와 대중 동원4. 의례의 장소와 동원의 공간5. 대중동원의 정치양식: 의례의 장소부터 시가행진까지 9장 개항장도시 인천의 기념사업과 기억의 정치1. 기념사업을 통한 집단기억 만들기2. 일제시기 기념사업과 집단기억3. 해방 후 기념사업과 집단기억4. 기억의 정치와 인천의 장소성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29 - 20세기 동아시아화교의 지속과 변화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57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29 2. 제 목 : 20세기 동아시아화교의 지속과 변화 3. 필 자 : 이은상 외 4명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4. 출 판 사 : 심산 5. 출판년도 : 2017년 6월 5일 6. 목차 :서문 제1부. 총론 제1장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화교의 시공간과 로컬 제2장 전후 동아시아화교의 '경계인'으로서의 삶 제3장 중층적ㆍ역동적 시공간을 통한 한국화교 이해 제2부. 로컬과 국가를 횡당하는 동아시아화교 제1장 식민지 조선의 신의주화교 제2장 동아시아의 냉전과 고베화교사회 제3장 요코하마 화교사회의 160년, 지속ㆍ갈등, 그리고 변화 제4장 'Glonacal'관점에서 본 한국 화교학교 제5장 인천 차이나타운 화교의 삶과 초국가적 공간의 형성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28 - 공동체와 로컬리티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59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28 2. 제 목 : 공동체와 로컬리티 3. 필 자 : 이명수 외 5명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4. 출 판 사 : 심산 5. 출판년도 : 2017년 5월 30일 6. 목차 :서문제1부 공동체 이념제1장 동아시아 공동체 사유와 조화로운 공간 | 이명수제2장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그리고 공동체 | 설한제3장 공통적인 것(the common)과 탈근대성의 공동체 | 허용삼제2부 공동체의 다원성제1장 데칼코마니(decalcomanie): 비장소적 공동체로서 집시공동체 |장세룡제2장 공동체와 자기 실현의 공간 | 이명수제3장 아감벤의 다문화주의 공동체 비판 | 하용삼제3부 지역적 대안 운동제1장 프라이부르크(Freilburg)시의 생태공동체 운동 | 박길용제2장 위난성 라스하이 지역 생태공동체 운동 | 이은상제3장 몬드라곤 협동조합의 글로컬 경영 | 장세룡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 27 - 로컬리티 담론과 인문학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37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27 2. 제 목 : 로컬리티 담론과 인문학 3. 필 자 : 문재원 외 7명 4. 출 판 사 : 소명출판 5. 출판년도 : 2017년 5월 30일 6. 목차 :1부-로컬리티의 개념과 담론적 실천 경계의 재인식과 로컬리티의 인문학-문재원로컬리티에 관한 존재와 인식의 문제-이명수로컬리티의 인식 층위와 주체-타자의 변주-조명기로컬리티의 개념적 이해와 언어표항-차윤정 2부-로컬리티 연구의 새로운 맥락과 확장 재현과 물질의 교차지대로서 로컬리티-박규택스케일의 측면에서 본 로컬공간의 대안적 의미와 가능성-이상봉장소성과 로컬리티-차철욱혼종성 담론과 로컬리티 : 월경과 전복?-조관연도시이론과 로컬리티 연구의 계보학적 관계-장세룡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26 - 로컬리티와 포스트모던 공간성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97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 26 2. 제 목 : 로컬리티와 포스트모던 공간성 3. 필 자 : 박규택 외 4명 4. 출 판 사 : 소명출판 5. 출판년도 : 2017년 5월 30일 6. 목차 :1부 동서양 공간론 동아시아 공간론, 존재와 생성의 근거를 논하다 이명수1. 공간에 대한 인식의 전회 2. 공간에 관한 존재론적 역설 3. 생명적 근거로서 공간과 그 말살 4. 공간적 주체성과 대화하는 인간 비물질적 노동에 의한 공간의 재전유 M 하이데거, D. 매시, M. 하트를 중심으로 하용삼1. 공간의 발생 2. 거주함의 공간과 기하학적 ? 수학적 공간 3. 근대 공간―정체, 폐쇄성, 비이동성 그리고 과학과 재현 4. 탈근대성의 공간―비물질적 노동의 생산물 5.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 2부 포스트모던 공간의 특성 로컬리티의 다중성과 관계적 지리 벤쿠버, 로스엘젤레스, 그리고 런던 박경환1. 서론 2. 로컬리티의 다중성과 관계적 지리 3. 두 도시 이야기-밴쿠버와 로스앤젤레스 4. 맺음말-도린 매시의 런던이야기 트랜스-로컬리티 포스트모던의 대안적 공간정치 이상봉1. 왜 ‘트랜스trans’와 ‘로컬리티locality’에 주목하는가? 2. 트랜스의 의미-의미의 전유와 경계의 재구성 3. 로컬리티의 재인식-‘스케일’과 ‘관계’의 관점에서 4. 트랜스로컬리티의 의미와 실천 사이공간으로서 로컬리티 수행적 관계성, 미결정성, 관계적 스케일의 정치 박규택1. 로컬리티 새로운 시각 2. 사이공간으로서 로컬리티의 개념적 틀 -맥락성, 수행적 관계성, 과정성 3. 미결정성-사이공간으로서 로컬리티 생성?변화의 잠재성 4. 수행적 관계 스케일의 정치 5. 개념적 틀의 정치화 필요성 모빌리티 패러다임 장소의 재인식과 사회관계의 재구성 이상봉1. 왜 ‘모빌리티’가 중요한가? 2. 모빌리티 패러다임-사회공간을 읽는 새로운 틀 3. 모빌리티와 장소의 재구성 4. 모빌리티와 사회관계의 재구성 5. 대안적 사회관계를 향하여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25 - 젠더와 로컬리티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20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 25 2. 제 목 : 젠더와 로컬리티 3. 필 자 : 장세룡 외 4명 4. 출 판 사 : 소명출판 5. 출판년도 : 2017년 5월 30일 6. 목차 :1부-젠더 담론과 실천 젠더 연구와 로컬리티 연구의 접점과 쟁점-장세룡페미니즘의 세대론과 젠더공간의 정치-임옥희혐오와 친화 사이에서, 도시와 마주친 여성들-문재원 2부-젠더주체와 재현 지배와 공간, 그리고 젠더-조정민서발턴 여성의 정치적 주체성의 형성에 대해서-이유혁남부 캘리포니아 멕시코계 이주민 커뮤니티에서 여성의 행동주의-장세룡 좌담회젠더와 로컬리티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 24(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오키나와를 읽다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285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24(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 제 목 : 오키나와를 읽다 3. 필 자 : 조정민 4. 출 판 사 : 소명출판 5. 출판년도 : 소명출판 6. 목차 :1부-시선과 담론'오키나와' 를 말하는 정치학시마오 도시오와 남도'오키나와 문학'이라는 물음 2부-사상과 신체일본어 문학의 자장과 전후 오키나와의 문학 언어죽음에 임박한 몸들금기에 대한 반기, 전후 오키나와와 천황의 조우 3부-지역과 세계역사적 트라우마와 기억 투쟁두 개의 미국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23 - 도시와 공생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03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23 2. 제 목 : 도시와 공생 3. 필 자 : 조정민 외 9명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4. 출 판 사 : 소명출판 5. 출판년도 : 2017년 5월 23일 6. 목차 :1부 도시의 시간과 기억식민지 해방 이후 제주도 출신 여성의 도일과 생활 세계 / 이지치 노리코죽음과 재생의 도시 드라마 / 조정민도시이야기꾼의 과제와 가능성 / 다카시마 요코2부 도시 공간과 일상근현대 오사카의 사회적 결합의 해체와 재편 / 사가 아시타오사카의 도시 세그리게이션과 시민생활의 불안정화 / 가와노 에이지영화로 재현된 바르셀로나 관광 문제와 사회적 리얼리티 / 조관연2011년 '점령하라' 운동의 경과 / 장세룡3부 공생의 실천과 대안고리원전 주변 사람들의 생활경험과 마을 공동체 / 차철욱도시문화에 있어서의 심리학적 문제 / 야마 히로시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의 이론적ㆍ실천적 의미 / 이상봉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22 - 마을연구와 로컬리티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51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22 2. 제 목 : 마을연구와 로컬리티 3. 필 자 : 차철욱 외 7명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4. 출 판 사 : 소명출판 5. 출판년도 : 2017년 5월 15일 6. 목차 :1부 일상과 공동체마을연구와 일상생활이론의 적용_이동일1. 일상의 무대로서 마을2. 마을연구와 공동체3. 마을을 보는 관점으로서 일상생활 이론4. 마을과 공동체 그리고 일상의 영역5. 마을 만들기와 마을연구의 연결-일상과 현실6. 실제 마을 연구-변산공동체와 야마기시실현지를 중심으로7. 마을과 일상의 역설압축근대시기 농촌마을의 일상과 로컬리티_차철욱-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1. 마을과 일상, 그리고 국가2. 압축근대와 농민의 욕망3. 마을 사람들의 일상과 잠재력4. 새마을운동과 마을 사람들의 대응5. 일상의 시간과 로컬리티도시 동족마을에서 문중조직의 활동과 역할 _변광석1. 도시의 동족마을2. 동족마을의 실태와 문중조직3. 마을의 개발사업과 주민의 활동4. 마을의 계조직 활동과 의례5. 동족마을의 발자취2부 문화와 재현마을 문화와 지역성의 동학_박해광1. 지역적인 것의 복원과 마을2. 마을과 지역성3. 마을과 마을 문화4. 마을 문화와 지역성-현실과 쟁점5. 전지구적 지역성의 함정과 마을 문화의 의미마을 문화의 재구성과 차이의 가능성_차윤정-삼지내마을의 슬로시티 인증을 중심으로 1. 로컬리티, 왜 마을 문화에서 출발하나?2. 글로벌화와 흔들리는 로컬3. 글로컬화와 슬로시티 만들기4. 달팽이 표상과 전면화 되는 문화5. 달팽이 표상의 이면-배제와 소외6. 동일성을 넘어 다시 ‘삶의 터’로마을의 역사적 경험과 재현_양흥숙-대구시 우록리 사례로1. 변하는 마을 속의 기억과 역사자원2. 항왜降倭 김충선의 마을, 우록리3. 우록리 동약洞約과 마을의 결속4. 문중, 역사자원 그리고 전승5. 기억의 재현과 마을의 변화3부 공간과 변이도시화에 의한 마을공간의 분절과 구성원의 연대_공윤경-대천마을과 대천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1. 마을, 도시화 그리고 불균형2. 공간의 재구성과 접근방법에 대한 고찰3. 도시화에 의한 마을공간과 계층의 분절4. 구성원의 연대와 공생으로의 가치 전환5. 분절을 넘어 하나의 공생체로시민 자치 장소로서의 조선 마을_전은휘-197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 우토로 초기 지원자에 주목하여1. 재일코리안 주민운동의 일본인 지원자들2. 배경-분화되는 조선의 심상지리3. 불법점거 지구의 거주권 운동과 지역과의 관계4. 교토 남부 교외지역 시민들의 조선 문제5. 시민의 조선 문제에서 내 주변의 사회 문제로6. 조선인 마을에서의 저항의 연대 [연구총서] 로컬리티 연구총서21 - 사건, 정치의 토포스 : 외부의 잠재성과 로컬리티 작성자 김현주 조회수 328 첨부파일 1 1. 총 서 명 : 로컬리티 연구총서21 2. 제 목 : 사건, 정치의 토포스 : 외부의 잠재성과 로컬리티 3. 필 자 : 장세룡 외 6명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4. 출 판 사 : 소명출판 5. 출판년도 : 2017년 5월 29일 6. 목차 :1부- 외부성과 로컬리티 사건, 정치의 토포스에서 로컬 서사와 로컬주체_장세룡1. 로컬 서사란 무엇인가?2. 사건에서 로컬 서사의 주체3. 사건의 토포스에서 내부와 외부4. 로컬 서사의 줄거리5. 로컬 서사의 주제들 로컬리티와 가치전환의 사유-들뢰즈의 공간 은유를 통하여_신지영1. 로컬리티라는 문제 설정2. 로컬리티 연구에 대한 기존의 평가3. 들뢰즈 존재론과 공간론4. 로컬의 개념화5. 로컬리티, 가치의 전환 2부-사건의 자리, 정치의 장소 사건, 정치, 로컬리티_문재원1. 문학과 정치2. '밀양'이라는 장소3. 미학적 혁명과 불일치의 지역문학4. 들리지 않는 '할매들'의 침입과 문학의 정치5. 사건의 자리, 변방의 역설 밀항, 국경 그리고 국적 - 손진두 사건을 중심으로_김원1. 히바큐샤 손진두, 1927-20142. 재일조선인과 밀항의 불온성3. 식민주의, 오무라수용소 그리고 국적4. 한국인 원폭피해자와 국경5. 국경을 흔드는 사건과 불온한 장소들 사건의 토포스 '민감한 방리유'_장세룡1. 소요와 폭동의 장소2. 방리유-근대화의 상징에서 차별과 배제의 토포스로3. 타자와 정체성-공화국의 정체성과 배제의 정치4. 방리유에서 바라보는 이민자 통합정책의 명암과 그 미래 3부-자본주의담론의 바깥, 상상하는 로컬리티 당위적 가치의 전유 그리고 배제와 전치의 정치-2000년대 제주를 중심으로_조명기1. 제주의 밀레니엄2. 세계평화의 섬, 국가폭력에 대한 사과 혹은 미래구상의 조건3. 국제자유도시, 유토피아 혹은 욕망4. 제주 강정해군기지, 드리난 균열 도시 젠트리피케이션과 '장소'로서의 문화생태-서울 문화 로컬리티 사례들_이동연1. 도시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재생2. 젠트리피케이션과 문화적 전환의 양면성3. 젠트리피케이션 재난의 현장-테이크아웃드로잉의 죽음과 기록4. 근대적 아케이드 세운상가의 재생과 문화적 전환5. 서울아레나 프로젝트와 창동 사운드의 상상6. 공유지의 사유화에 저항하는 경의선 공유지 '늘장'의 문화행동7. 도시의 생태문화를 간파하기 상호부조 협동금융의 전개와 마이크로크레딧-지역 자활공제협동조합과 청년연대은행 토닥을 중심으로_오미일1. 한국자본주의의 위기와 마이크로크레딧2. 지역 자활공제협동조합의 상호부조 금융3. 협동금융의 확산과 청년연대은행 토닥4. 협동금융의 장기적 전망 처음 1 2 3 다음 페이지 끝 처음 다음 끝